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임업직불제 교육"기간은 2025년 8월 31일까지 이수하세요 (ft. 준수사항)

by 정조교 2025. 3. 15.

2025년 임업직불금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 3월: 온라인(비대면) 신청가능  
✔ 4월: 방문 신청 가능  

이미 빠르게 신청을 마친 분들도 많을 텐데요,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니란 사실, 알고 계시지요?  

임업직불금을 받으려면 반드시 지켜야 할 의무사항이 있습니다.  

이걸 안 지키면 직불금이 항목별로 10%씩 감액될 수도 있는데요.  

예를 들어, 소규모 임가의 경우 받을 금액이 130만 원이라면,  의무사항을 지키지 않으면 13만 원이 깎이는 셈입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준수사항 중 하나가 바로 의무교육 이수입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  교육 시간: 2시간이면 완료  
✔  수강 방법: 스마트폰으로도 간편하게 가능  

① 임업인 통합포털: 본인인증만 하면 수강가능  
② 농업교육포털: 회원가입 후 로그인 후 수강가능  

두 가지 방법 중 편한 걸로 선택해서 들으시기 바랍니다!

 

🔻임업직불금 의무교육 수강신청🔻
(바로가기) 

👉 농업교육포털
      의무교육신청
👉 임업-in 포털
       의무교육신청

 

 

의무준수 사항은 2025년 8월 31일까지 완료해야하니, 기한 내 교육을 완료하지 않으면 직불금 감액이 있을 수 있으니 꼭 미리 챙기셔서 불이익 없도록 하세요! 

 

 

목차

     

    1. 임업직불금 의무교육 교육기간

    [임업in 통합포털 > 임업직불금 > 제도소개] 출처에 따르면, 임업직불금 지급대상자는 정해진 기간 내에 준수사항을 반드시 이행해야 합니다. 

    이행 기간은 직전년도 10월 1일부터 당해년도 8월 30일까지이며, 의무교육도 이 기간 내에 완료해야 합니다. 

    교육 방법은 두 가지가 있으니,  아래 내용을 참고해서 편한 방법으로 들으시면 됩니다.  

     

     

    1) '농업교육포털' 의무교육 신청

    농업교육포털에서는 회원가입 후 로그인하면 바로 신청할 수 있는데요. 

    현재 3,800명 이상이 이미 수강 완료했을 만큼 많은 분들이 듣고 있어요.  

     

     

    (임업직불금 '의무교육' 수강신청 바로가기)

     

     

    출처: 농업교육포털 홈페이지


    < 농업교육포털에서 수강하는 방법 >
    1️⃣ [농업교육포털 홈페이지] 접속 → 로그인 
    2️⃣  ‘교육과정신청’ > ‘통합교육과정 검색’에서 ‘임업’ 입력 후 검색
    3️⃣ ‘2025년 임업직불제 의무교육 과정’ 선택 후 신청
    4️⃣ 2시간 교육 수강 후 이수 완료!

     

     

    2) '임업인 통합포털' 의무교육 신청

    임업인 통합포털에서는 '회원가입 없이' 본인인증만 하면 바로 수강할 수 있습니다. 

     

     

    (임업직불금 '의무교육' 수강신청 바로가기)

     

     

    출처: 임업in 통합포털 홈페이지


    < 임업인 통합포털에서 수강하는 방법>
    1️⃣ [임업-in 통합포털 홈페이지] 접속 
    2️⃣ 본인인증(임업경영체 번호 또는 휴대폰 인증)

    3️⃣ ‘의무교육 수강’ 클릭 후 교육 진행
    4️⃣ 6차시 의무교육 수강 후 이수 완료! 

    의무교육은 혹시 깜빡하고 지나쳤다가 직불금 10% 감액이라는 손해를 보지 않도록, 미리미리 챙겨두시길 바랍니다!

     

    2. 임업경영체 번호 조회방법

    임업 직불금은 2019년 4월 1일부터 2022년 9월 30일까지 임업경영체로 등록된 산지에서 일정 요건을 충족하고, 정해진 사항을 잘 지킨 임업인에게 지급되는 지원금 제도입니다.  

    그러니까, 직불금을 받으려면 반드시 임업경영체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겠지요.  

    그래서인지 "내가 임업경영체 등록을 했는지?", "임업경영체 번호가 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있으실 텐데요.  

    임업경영체 번호는 임업-in 통합포털에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임업-in 통합포털 / 임업등록정보확인)

     

     

    출처: 임업-in 통합포털 홈페이지

     


    특히 의무교육을 수강할 때도 임업경영체 번호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확인해두는 게 좋겠지요. 

    < 임업경영체 번호 조회 방법 >
    1️⃣ [임업-in 통합포털] 접속
    2️⃣ ‘임업경영체’ 메뉴 클릭 → ‘등록정보 확인·발급’ 선택
    3️⃣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입력 (법인은 법인명 및 법인등록번호 입력)
    4️⃣ 조회 완료! 

    직불금 신청부터 교육수강까지, 대부분의 과정이 임업-in 통합포털에서 이루어지니, 필요한 분들은 위 방법으로 바로 조회해보세요.

     

     

    3. 2025년 임업직불금 "준수사항"

    임업 직불금을 신청하고 지급 대상자로 등록됐다면, 준수사항을 성실히 이행해야 한다는 점, 기억하고 계시죠? 

     

    출처: 산림청_2025 임업직불금 시행지침(일부발췌)

     


    이걸 어기면 항목별로 직불금이 10%씩 깎이게 되고, 여러 개 위반하면 그 퍼센트가 합산돼서 최대 100%까지 감액될 수도 있습니다.  


    즉, 잘못하면 한 푼도 못 받을 수도 있다는 얘기지요.  

    특히, 작년에 위반했던 걸 올해 또 어기면 감액률이 두 배로 올라가서 최대 40%까지 깎일 수 있으니 더욱 신경 써야 합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걸 지켜야 하는지 살펴볼까요?  

     

     

    🔻[공통사항] 2025 임업직불금 준수사항🔻

    출처: 산림청_2025 임업직불금 시행지침(일부발췌)

     

     

    🔻[임산물생산업] 2025 임업직불금 준수사항🔻

    출처: 산림청_2025 임업직불금 시행지침(일부발췌)

     

     

    🔻[육림업] 2025 임업직불금 준수사항🔻

    출처: 산림청_2025 임업직불금 시행지침(일부발췌)



    이처럼 2025년 임업직불금 준수사항은 공통사항, 임산물생산업 관련 사항, 육림업 관련 사항 이렇게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이 내용은 산림청에서 발표한 ‘2025년 임업·산림 공익직접지불사업 시행지침’에서 발췌한 공식자료이니 신뢰할 수 있는 정보입니다.

     

     

    🔻2025 임업직불금 추진일정🔻


    특히,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는 의무교육 관련 준수사항은 참고하기 쉽게 노란색 형광펜으로 표시해 두었으니 내용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임업직불금 온라인교육 신청방법 및 임업직불제 필수 준수사항과 임업경영체 번호 조회방법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임업직불제 교육기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