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3

농업직불금 "의무교육"은 2025년 9월 30일까지 이수! (직불금 감액주의) 2025년도 농업직불금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해마다 많은 농업인분들이 신청하시는 제도라 자연스럽게 "농업직불금"이라고 부르시는데요.  정식 명칭은 "공익직불금"으로 그 안에는 소농직불제나 면적직불제 같은 세부 제도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번 신청 기간은 두 번으로 나뉘어 진행되는데요.  먼저 2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는 온라인 신청 기간,  그리고 3월 4일부터 4월 30일까지는 읍·면·동 사무소 방문 신청으로 이어집니다.  이미 온라인으로 접수 마치신 분들도 계실 테고, 아직 방문 신청을 준비하시는 분들도 많으실 텐데요.  직불금은 신청만 하면 끝나는 게 아니라, 전액을 받으시려면 '17가지 준수사항'을 모두 지켜야 합니다.  그 중 한 가지라도 빠지게 되면, 항목별로 직불금이 10%씩 감액.. 2025. 3. 18.
2025 공익직불제 농업인 "온라인 교육" 바로가기 | 공익직불제 필수교육 수강! 2025년도 "공익직불제"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신청기간은 2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는 온라인, 그리고 3월 4일부터 4월 30일까지는 읍면동 사무소 방문신청인데요.  이미 온라인 신청을 마치신 분도 계실 테고, 방문 준비 중인 분들도 계시겠지요.  그런데 신청만 한다고 끝나는 게 아니라는 점을 꼭 기억해두셔야 합니다.  직불금을 100% 받으시려면 ‘17가지 준수사항’을 모두 지켜야 하는데요.  하나라도 빠지면 항목당 총액의 무려 10%씩 감액됩니다.  그중에서도 많이들 깜빡하시는 게 바로 "농업인 교육이수"인데요.  교육은 농업교육포털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1시간이면 수강하실 수 있습니다. 의무교육 신청하기▶(농업교육포털 / 2025 '공익직불금' 교육신청)  다만, 교육이수 기한이 2025.. 2025. 3. 17.
"임업직불제 교육"기간은 2025년 8월 31일까지 이수하세요 (ft. 준수사항) 2025년 임업직불금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 3월: 온라인(비대면) 신청가능   ✔ 4월: 방문 신청 가능   이미 빠르게 신청을 마친 분들도 많을 텐데요,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니란 사실, 알고 계시지요?   임업직불금을 받으려면 반드시 지켜야 할 의무사항이 있습니다.   이걸 안 지키면 직불금이 항목별로 10%씩 감액될 수도 있는데요.   예를 들어, 소규모 임가의 경우 받을 금액이 130만 원이라면,  의무사항을 지키지 않으면 13만 원이 깎이는 셈입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준수사항 중 하나가 바로 의무교육 이수입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  교육 시간: 2시간이면 완료   ✔  수강 방법: 스마트폰으로도 간편하게 가능   ① 임업인 통합포털: 본인인증만 하면 수강.. 2025. 3. 15.
[읍면동 주민센터] 2025 임업 직불금 대면(방문) 신청 | 관할 행정복지센터 찾기! 2025년 임업직불금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  올해는 신청기간이 예년보다 조금 앞당겨져서 3월에는 비대면 신청, 4월에는 방문 신청이 가능한데요.  소규모임가는 임가당 130만 원, 면적 직불금은 1ha당 32만~94만 원 정도 지급됩니다.  즉, 산지 면적이 넓을수록 받을 수 있는 금액도 커지기 때문에 최대 수천만 원까지도 가능할 수 있는데요.다만, 단순히 산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무조건 지급되는 건 아니고 지급대상 산지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런내용이 홍보 자료만 보고는 헷갈릴 수 있는데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임업인 통합포털’의 공지사항에 올라온 [2025년 임업 직불금 신청 공고문]을 직접확인하는 것입니다.  지급대상업종(임산물생산업, 육림업)과 산지조건, 신청시 필요서류가 상세하게.. 2025. 3. 13.